Menu
Atamienkai
  • Home
  • 인사이트
  • 이슈
  • 인물
  • 정책
  • 투자
Atamienkai

‘아동 성 착취 영상’ 구매에 암호화폐 활용 급증…2년새 212% 증가

Posted on April 22, 2020April 22, 2020 by Admin

아동 성 착취 영상을 구매하는데 활용된 암호화폐 결제액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1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는 발표한 자료에서 지난해 아동 성 착취 영상 구매에 지불된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규모가 93만 달러(약 11억 5천만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아동 성착취 영상을 구매하는데 활용된 암호화폐 결제액 규모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결제액은 2018년 대비 32% 증가한 액수로, 2017년보다는 무려 212%나 증가했다.

이와 관련해 체이널리시스는 “암호화폐가 아동 성 착취 영상물 결제에 사용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면서 “이는 아동 성 착취 영상물에 대한 수요의 증가라기 보다는 암호화폐 채택 증가로 인한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어 “93만 달러라는 액수는 암호화폐 시장 규모에 비해 작은 수준”이라면서도 “이러한 성 착취 범죄에 암호화폐가 활용된다는 점은 업계가 우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불법 영상물 결제에 대한 암호화폐 결제 비중이 높아진 데에는 당국의 추적을 어렵게 만들겠다는 구매자들의 계산이 깔려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국내에서 텔레그램 ‘박사방’을 만들어 성 착취 영상을 유통한 운영자 조주빈은 입장료 명목으로 암호화폐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거래 내역 추적이 어렵다고 알려진 다크코인 ‘모네로(XMR)’를 통한 결제를 구매자들에게 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이러한 결제의 대부분이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해 이뤄지고 있어 블록체인을 통해 추적이 가능하다.

업체는 “대부분의 결제 금액이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특정 시간대, 특정 액수의 거래로 추적 범위를 좁히면 많은 패턴을 식별할 수 있고, 범죄자들의 신원과 활동을 추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토큰포스트 |

Leave a Reply Cancel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Recent Posts

  • 맥쿼리 투자은행 “민간 암호화폐, CBDC 발행 앞서 시장 점유할 수도”
  • 뒷돈 받고 암호화폐 상장…코인네스트 대표, 징역 1년 6개월 확정
  • 골드만삭스 “비트코인 시장, 아직 기관투자자 참여 적다”…기관 비중 1% 불과
  • SK 증권 “테더 이슈, 비트코인 급락 촉발…상승 흐름 유지 전망”
  • 포브스 “비트코인 반등에 신흥 억만장자 탄생”…제미니 형제 공동 1위

Archives

  • January 2021
  • December 2020
  • November 2020
  • October 2020
  • September 2020
  • July 2020
  • June 2020
  • May 2020
  • April 2020
  • March 2020
  • February 2020
  • January 2020
  • December 2019
  • November 2019
  • October 2019
  • September 2019
  • August 2019
  • July 2019
  • June 2019
  • May 2019
  • April 2019
  • March 2019
  • February 2019
  • January 2019
  • December 2018
  • November 2018
  • October 2018
  • September 2018
  • August 2018
  • January 1970

Categories

  • Chain&Coin
  • DFINE_2019
  • Digital Asset
  • English News
  • event
  • Finance
  • Global News
  • Market
  • N번방과 암호화폐
  • Opinion
  • Policy
  • Press
  • Stories For U
  • WCA
  • 공시로 본 거래소
  • 금융의 미래
  • 리플의 운명은?
  • 브리핑
  • 블록체인 in 차이나
  • 블록체인101
  • 비즈니스
  • 이슈
  • 인물
  • 인사이트
  • 정책
  • 테크
  • 투자
  • 피플
©2021 Atamienkai | Powered by WordPress & Superb Themes